우 : Virtual Dub으로 동영상 용량 줄이기(재인코딩)
평점 :
+4 (8명) 나도 평가하기 조회: 27358
집필자 : rosemana (2004-05-12 18:36) 신고하기 | 이의제기
노하우사전 분류 : IT
Virtual Dub으로 MPEG 파일을 불러온 후,
★ 특정부분만 편집하는 경우
- 스크롤 바와 방향키, 이동아이콘 등을 이용해 떼어낼 부분만 선택 (화살표처럼 생긴 아이콘으로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)
1. File - Save WAV : 오디오 추출
2. Audio - No Audio
3. Video - Compression - DivX 선택 - Configure
4. Multipass, 1th pass 선택
5. bitrate 설정 (900=분당 약 10메가, 1500정도 추천)
★ 소스가 MPEG인 경우 (AVI 해당없음)
6. Video - Filter
7. Add - Smart Deinterlace - Blend instrad of... 에만 체크 (이 필터가 없을 경우 따로 다운받아 설치하십시오)
8. Add - resize - 화면크기설정
☆ 크게 4:3과 16:9가 있습니다.
○ 4:3 - 640:480(추천), 512:384, 480:360, 400:300, 320:240
○ 16:9 - 1024:576, 960:540, 832:468(추천), 768:432, 704:396, 640:360, 512:288, 320:216
[ 특정 HDTV 영상은 소스 자체가 1024:576 혹은 960:540인 경우가 있음 ]
-> 이 경우, 무조건 원본 크기와 같은 크기로 설정.
9. Save as AVI - Don't run this job now 체크
10. Video - Compression - DivX 선택 - Configure
11. Multipass, nth pass 선택
12. Save as AVI - Don't run this job now 체크 - 다른 파일명 지정
13. File - Job control - Start
☆ 결과물 테스트, 화질이 마음에 안들면 bitrate를 높여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
★ 오디오 압축
14. MP3 압축 프로그램 실행 (Easy CD-DA Extractor 추천)
15. <1>에서 만든 파일을 VBR Level 0~4 정도의 옵션으로 인코딩 (0이 고음질)
☆ 용량이나 음질 등이 마음에 안들면 14번부터 다시 시작
16. Nandub 실행 - <12>에서 만든 파일 불러옴
17. Video - Direct Stream Copy
18. Audio - (VBR) MP3 Audio - <15>에서 만든 파일
19. Save as AVI
☆ 최종 영상 테스트, 마음에 안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
★ Deinterlace를 하는 이유 : 보통 MPEG 파일은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홀수라인의 필드와 짝수라인의 필드가 한 프레임으로 구성됨. 두 필드를 빠르게 보여줌으로써 한 화면 형성. 따라서 그냥 보면 가로줄이 보이게 되므로 보통 플레이어 또는 코덱에서 디인터레이스를 하여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이도록 함. 하지만 AVI 파일은 한 프레임씩 보여지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디인터레이싱을 하지 않으므로 이 작업을 하지 않으면 가로줄이 보이게 됨.
★ VBR : 용량대 음질비가 CBR보다 좋으므로 용량절감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함.
★ 2번 인코딩을 하는 이유(2-pass) : 처음 생기는 파일은 VBR 인코딩을 위한 통계파일임. 즉, 어느 시간대에 움직임이 어떻고 밝기가 어떻고 등을 전부 계산하여 움직임이 빠른, 즉 화질이 좋아야 할 부분에 높은 bitrate가 할당됨. 두번째 작업에서는 통계파일을 가지고 VBR을 적용하여 인코딩함.
내용출처 : [직접 서술] 직접 서술
평점 :
+4 (8명) 나도 평가하기 조회: 27358
집필자 : rosemana (2004-05-12 18:36) 신고하기 | 이의제기
노하우사전 분류 : IT
Virtual Dub으로 MPEG 파일을 불러온 후,
★ 특정부분만 편집하는 경우
- 스크롤 바와 방향키, 이동아이콘 등을 이용해 떼어낼 부분만 선택 (화살표처럼 생긴 아이콘으로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)
1. File - Save WAV : 오디오 추출
2. Audio - No Audio
3. Video - Compression - DivX 선택 - Configure
4. Multipass, 1th pass 선택
5. bitrate 설정 (900=분당 약 10메가, 1500정도 추천)
★ 소스가 MPEG인 경우 (AVI 해당없음)
6. Video - Filter
7. Add - Smart Deinterlace - Blend instrad of... 에만 체크 (이 필터가 없을 경우 따로 다운받아 설치하십시오)
8. Add - resize - 화면크기설정
☆ 크게 4:3과 16:9가 있습니다.
○ 4:3 - 640:480(추천), 512:384, 480:360, 400:300, 320:240
○ 16:9 - 1024:576, 960:540, 832:468(추천), 768:432, 704:396, 640:360, 512:288, 320:216
[ 특정 HDTV 영상은 소스 자체가 1024:576 혹은 960:540인 경우가 있음 ]
-> 이 경우, 무조건 원본 크기와 같은 크기로 설정.
9. Save as AVI - Don't run this job now 체크
10. Video - Compression - DivX 선택 - Configure
11. Multipass, nth pass 선택
12. Save as AVI - Don't run this job now 체크 - 다른 파일명 지정
13. File - Job control - Start
☆ 결과물 테스트, 화질이 마음에 안들면 bitrate를 높여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
★ 오디오 압축
14. MP3 압축 프로그램 실행 (Easy CD-DA Extractor 추천)
15. <1>에서 만든 파일을 VBR Level 0~4 정도의 옵션으로 인코딩 (0이 고음질)
☆ 용량이나 음질 등이 마음에 안들면 14번부터 다시 시작
16. Nandub 실행 - <12>에서 만든 파일 불러옴
17. Video - Direct Stream Copy
18. Audio - (VBR) MP3 Audio - <15>에서 만든 파일
19. Save as AVI
☆ 최종 영상 테스트, 마음에 안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
★ Deinterlace를 하는 이유 : 보통 MPEG 파일은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홀수라인의 필드와 짝수라인의 필드가 한 프레임으로 구성됨. 두 필드를 빠르게 보여줌으로써 한 화면 형성. 따라서 그냥 보면 가로줄이 보이게 되므로 보통 플레이어 또는 코덱에서 디인터레이스를 하여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이도록 함. 하지만 AVI 파일은 한 프레임씩 보여지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디인터레이싱을 하지 않으므로 이 작업을 하지 않으면 가로줄이 보이게 됨.
★ VBR : 용량대 음질비가 CBR보다 좋으므로 용량절감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함.
★ 2번 인코딩을 하는 이유(2-pass) : 처음 생기는 파일은 VBR 인코딩을 위한 통계파일임. 즉, 어느 시간대에 움직임이 어떻고 밝기가 어떻고 등을 전부 계산하여 움직임이 빠른, 즉 화질이 좋아야 할 부분에 높은 bitrate가 할당됨. 두번째 작업에서는 통계파일을 가지고 VBR을 적용하여 인코딩함.
내용출처 : [직접 서술] 직접 서술